1. 계정의 의의

 같은 성질을 가진 것을 항목별로 나누어 기록, 계산, 정리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계산 단위

 - 계정과목 : 현금계정, 상품계정 등과 같이 계정에 붙이는 이름

 - 계정계좌(계좌) : 계정의 기입장소

 - 왼쪽 : 차변, 오른쪽 : 대변

상품계정(계정과목)
(차변) (계정계좌) (계정계좌) (대변)

2. 계정의 형식

 1) 표준식

현금
월일 적요 분면 금액 월일 적요 분면 금액
                   

  - 적요 : 래내용을 요약

  - 분면 : 분개장의 페이지

 2) 잔액식

현금
월일 적요 분면 차변 대변 차 또는 대 잔액
               

 3) T자형(약식형식)

 계정의 금액을 왼편과 오른편으로 나누어 기입할 수 있는 T자형의 계정을 많이 사용=약식계정

3. 계정의 분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및 비용에 속하는 계정으로 분류

 - 재무상태표계정 : 재무상태표에 기입되는 자산, 부채, 자본에 속하는 계정

 - 손익계산서계정 : 손익계산서에 기입되는 비용과 수익계정

4. 계정의 기입 방법

거래의 발생
차변 대변
자산계정
자산의 증가 증가(+) 감소(-) 자산의 감소
부채계정
부채의 감소 감소(-) 증가(+) 부채의 증가
자본계정
자본의 감소 감소(-) 증가(+) 자본의 증가
비용계정
비용의 발생 발생(+) 소멸(-)  
수익계정
  소멸(-) 발생(+) 수익의 발생

5. 대차평균의 원리

 어떤 계정의 차변과 다른 계정의 대변에 같은 금액을(거래의 이중성) 기입

 대차평균의 원리 : 계정 전체의 차변 합계금액과 대변 합계금액은 반드시 일치하는 것

차변금액 (일치) 대변금액 = 거래의 이중성
차변합계 (일치) 대변합계 =대차평균의 원리

 # 분개 : 거래가 발생시 일자별로 차변에 계정과목, 금액, 대변에 계정과목, 금액을 기재하는 절차

   상거래 : 사업자등록증의 업태/종목으로 기재한 물품을 거래

    - 외상구입시 : 외상매입금

 

 

정보) 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시산표  (0) 2021.09.30
1-6 분개  (0) 2021.09.29
1-4 거래  (0) 2021.09.27
1-3 기업의 경영성과  (0) 2021.09.27
1-2 기업의 재무상태  (0) 2021.09.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