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문별원가회계 기초

 1) 부문별 원가회계의 의미 : 제조간접비를 발생한 장소인 부문별로 분류, 집계하는 절차

 2) 원가부문의 설정

  - 원가부문 : 원가가 발생하는 장소

   - 제조부문 : 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부문 → 절단부문, 조립부문, 선반부문, 주조부문 등

   - 보조부문 : 제조부문의 활동을 보조하는 부문 → 동력부문, 수선부문, 공장사무부문 등

2. 부문별원가회계 절차

 1) 부문별 원가회계의 절차

  제 1단계 : 부문 개별제조간접비(=부문개별비)를 각 부문에 부과

  제 2단계 : 부문 공통제조간접비(=부문공통비)를 각 부문에 배부

  제 3단계 : 보조부문비를 제조부문에 배부

  제 4단계 : 제조부문비를 각 제품에 배부

 2) 부문개별비의 부과

   - 부문개별비(부문직접비) : 특정 부문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제조간접비

                                     ex) 특정 부문의 책임자 급료나 특정 부문에서만 사용하는 기계의 감가상각비 등

 3) 부문공통비의 배부

   - 부문공통비(부문간접비) : 여러 부문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제조간접비

부문공통비 배부기준
간접재료비 각 부문의 직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각 부문의 직접노무비, 종업원수, 직접노동기간 등
감가상각비 기계의 경우 : 각 부문의 기계사용시간 또는 기계가격
건물의 경우 : 각 부문의 면적
동력비 각 부문의 전력소비량 또는 기계마력수*운전시간
수선비 각 부문의 수선횟수 또는 수선가액
가스수도비 각 부문의 가스, 수도사용량
운반비 각 부문의 운반 물품 무게, 운반 거리, 운반 횟수 등
복리후생비 각 부문의 종업원 수
임차료, 화재보험료 각 부문의 차지하는 면적 또는 기계의 가격

 4) 보조부문비의 배부

   - 직접배부법 : 보조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완전히 무시, 제조에만 배부 → 간단하지만 부정확

   - 단계배부법 : 우선순위를 정하여 배부, 보조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일부 고려,

                      우선순위가 높은 부문 → 우선순위가 낮은 부문(역으로는 배부안됨)

   - 상호배부법 : 보조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완전히 고려 → 연립방정식 → 복잡하지만 정확

 5) 보조부문비의 배부기준

    - 단일배부율법 : 변동비와 고정비를 합하여 하나의 기준으로 배부

    - 이중배부율법 : 변동제조간접비 → 실제조업도(생산량), 고정제조간접비 → 최대조업도(생산량)

 6) 제조부문비의 제품에 배부

    - 공장전체배부율법(하나의 배부기준)

    - 부문별배부율법

 

 

정보) 경기도 평생학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세무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종합원가계산  (0) 2021.10.09
2-4 개별원가계산  (0) 2021.10.08
2-2 요소별 원가회계  (0) 2021.10.06
2-1 원가회계의 기초  (0) 2021.10.06
1-14 자본  (0) 2021.10.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