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원가계산 : 제품별로 각각 원가를 계산 → 주문별로 원가 투입이 상이(주문생산방식) → 다품종소량
→ 원가투입이 상대적으로 과대 → 조선업, 항공기제조업, 건설업 등
- 핵심 : 제조간접비(공통비)의 배부
- 지시서 : 특정작업지지서(제조지시서)
종합원가계산 : 공정별로 원가계산, 평균원가로 계산 → 소품종대량생산방식
- 핵심 : 완성품환산량
- 지시서 : 계속작업지시서
1. 개별원가계산의 기초
1) 개별원가계산의 의미
- 개별원가계산 : 여러 종류의 제품을 고객의 주문에 의해 소량씩 개별적으로 생산
ex) 건설업, 조선업, 항공기 제조업, 기타주문생산업 등
2) 제조지시서와 원가계산표
- 제조지시서 : 고객이 주문한 특정 제품의 제조를 제조부서에 지시하는 명령서
- 특정제조지시서 : 특정 제품의 제조 또는 작업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발행되는 지시서, 개별원가회계
- 계속제조지시서 : 일정한 기간에 걸쳐서 동일 종류/동일 규격의 제품을 계속하여 제조할 것으로 지시하는 명령서,
종합원가회계
- 원가계산표 : 제품의 제조원가를 계산하기 위하여 소비된 모든 원가요소를 집계하는 명세서,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가 상세히 기록
# 제조원가(=제조비용)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비 =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직접재료비(재료비) = 기초원재료 + 순매입액 - 기말원재료 → 창고출고액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 + 제조원가(투입원가) - 기말재공품 → 제조원가명세서
제품매출원가 = 기초제품 +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말제품 → 손익계산서
기초원가(기본원가)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가공원가(전환원가)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비 → 재료를 제품으로 전환시 투입되는 원가
2. 개별원가계산의 절차와 방법
1) 개별원가계산의 절차
- 제1단계 : 요소별 원가회계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요소별로 집계
- 제2단계 : 제조직접비와 제조간접비의 분류 및 제조직접비의 부과
제조직접비와 제조간접비로 분류, 제조직접비는 제품에 직접 부과,
제조간접비는 제조간접비계정에 집계하여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하여 각 지시서별 원가계산표에 기입
- 제3단계 : 부문별 원가회계
제조간접비 중에서 각 부문에 대하여 추적 가능한 부문직접비는 각 부문에 직접 부과,
추적 불가능한 부문간접비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각 부문에 배부,
보조부문비는 용역 제공 비율 등에 따라 제조부문에 배부하여 제조부문비 총액을 결정
- 제4단계 : 원가계산표의 마감
생산이 완료되면 각 지시서별로 원가의 합계액을 기록하여 원가계산표를 마감
- 제5단계 : 재공품계정의 기입
원가계산표에 집계된 금액은 원가원장의 통제계정인 재공품계정에 집계,
이 중 완성된 것은 제품 계정에 대체하고 미완성인 것은 차월로 이월하여 차월의 월초재공품으로 처리
- 제6단계 : 제품계정의 기입
제조공정을 거쳐 제품을 완성하면 완성품의 원가는 재공품계정 대변에서 제품계정 차변으로 대체
- 제7단계 : 매출원가계정에의 대체
제품을 고객에게 판매하는 경우에는 판매된 제품의 원가를 제품계정 대변에서 매출원가계정 차변에 대체
정보) 경기도 평생학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세무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부가가치세의 기초 (0) | 2021.10.10 |
---|---|
2-5 종합원가계산 (0) | 2021.10.09 |
2-3 부문별 원가회계 (0) | 2021.10.07 |
2-2 요소별 원가회계 (0) | 2021.10.06 |
2-1 원가회계의 기초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