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개
거래의 발생순서별로 각 계정과목과 금액을 확정하고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는 절차
1) 어느 계정에 기입할 것인지 계정과목을 결정
2) 결정된 계정과목에 차변 또는 대변의 어떤 쪽에 기입할 것인지 결정
3) 얼마의 금액을 기입할 것인가를 결정
거래분석 > 계정과목의 결정 > 차변, 대변 결정 > 금액의 확정
2. 전기
분개장의 분개를 차변에 기입된 금액은 해당계정의 차변에, 대변에 기입된 금액은 해당계정의 대변에 기입, 계정과목란(적요란)에는 상대계정과목을 기입
거래 | 1월 1일 현금 \100,000을 출자하여 영업개시하다. | |||
분개 | 차변 | 대변 | ||
1월 1일 현금 100,000 | 자본금 100,000 | |||
전기 | 현금 | 자본금 | ||
1/1 자본금 100,000 | 1/1 현금 100,000 |
3. 회계장부
장부 : 거래를 기록, 계산하는 지면(주요부와 보조부)
1) 주요부 :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부
2) 보조부 : 주요부의 기록을 보조하는 장부
- 보조 기입장 : 거래를 발생순서대로 상세히 기록하는 장부
- 보조원장 : 특정 계정의 명세를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장부
회계장부 | 주요부 | 분개장 |
총계정원장(원장) | ||
보조부 | 보조기입장 : 현금출납장, 당좌예금출납장, 매입장, 매출장, 받을어음기입장, 지급어음기입장 | |
보조원장 : 상품재고장, 매입처원장, 매출처원장 등 |
4. 회계장부 및 재무제표
거래발생 > 분개 > 전기 > 총계정원장 >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5. 분개장
분개장 | |||||
(병립식) | |||||
월일 | 적요 | 원면 | 차변 | 대변 | |
분개장
분개장 | |||||
(분립식) | |||||
차변 | 원면 | 적요 | 원면 | 대변 | |
6. 총계정원장(원장)
자산, 부채, 자본 및 수익, 비용에 속하는 각 해당계정에 거래를 옮겨 적을 수 있는 모든 계정이 설정되어 있는 장부
7. 결산절차
순서 | 1. 결산 예비 절차 | 2. 결산 본절차 | 3. 결산보고서 작성 |
목적 | 결산준비 | 장부의 마감 | 기업 외부에 보고 |
내용 | - 수정전시산표 작성 - 재고조사표 작성 - 결산정리사항의 수정 - 수정후시산표작성 |
- 분개장과 기타장부의 마감 - 초계정원장의 마감 - 이월시산표 작성(선택사항) |
- 손익계산서 작성 - 재무상태표 작성 |
# 결산 : 보고기간종료일로 장부를 마감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절차
# 마감
- 손익계정의 마감 : 0으로 절차
차변 | 대변 | |
수익계정 | 상품매출 | 손익 |
비용계정 | 손익 | 상품매출원가 복리후생비 |
당기순이익의 자본금대체 | 손익 | 자본금 |
- 재무상태표계정의 마감 : 이월(다음 연도에 사용가능하게 함)
정보) 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