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액의 신고납부

 1) 연말정산 세액 납부 방법

   - 연말정산결과 납부할 세액이 환급할 세액보다 큰 경우에는 다음년도 2월에 지급분 급여에 대한 소득세와 연말정산분 소득세를 납부서에 작성하여 다음년도 3월 10일까지 금융기관에 납부

 2)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제출

  - 월별납부자

   - 다음년도 3월 10일까지 제출

    # 총급여액 = 근로소득 - 전체비과세소득

       총지급액 = 근로소득 - 미제출비과세(식대, 자가운전보조금, 벽지수당, 육아휴직/산전후급여)

       소득세등 =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소득세

  - 반기별 납부 원청징수의무자

    # 반기별납부 : 상시고용인원이 20인이하시

    1~6월분 7/10 → 연말정산분반영, 7~12월분 1/10

  -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방법

   -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귀속연월」란에 "다음년도 2월", 「지급연월」란에 "다음년도 2월"을 기재

   - 「귀속연월」란에 "다음년도 1월", 「지급연월」란에 "다음년도 6월"로 기재

신고 구분 귀속연월 지급연월 제출연월일
매월 1월 2월 3월 10일
연말정산 2월 2월 3월 10일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연간 합계)와 지급명세서 비교]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의 [연말정산란(A04)]+[중도퇴사(A02)] 근로소득지급명세서 (계속근무자 및 중도퇴사자)
소득지급 1. 인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의 제출 건수
2. 총지급액 [총급여(16) 또는 (21)] 합계 + [비과세소득(20)] 합계
징수세액 3. 소득세 등 차감징수세액의 소득세(67) 합계
4. 농어촌특별세 차감징수세액의 농어촌특별세(67) 합계

 3) 과세표준확정신고와 자진납부

  - 과세표준확정신고

    다음 연도의 5월 31일까지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신고

  - 확정신고의 예외

   - 근로소득만이 있는 자

   - 퇴직소득만이 있는 자

    # 퇴직직소득만 있는 자 : 퇴사자정산, 퇴직소득은 분류과세

   - 연말정산되는 사업소득만 있는 자

    #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 : 보험모집인, 방문판매인, 음료품배달원 → 직전연도 총수입액금액이 7,500만원이하시

   - 연말정산되는 사업소득 및 퇴직소득만 있는 자

   - 공적연금소득만 있는 자

   - 근로소득 및 퇴직소득만 있는 자

   - 공적연금소득 및 퇴직소득만 있는 자

   - 공적연금소득 및 퇴직소득만 있는 자

   - 분리과세소득만이 있는 자

    # 분리과세소득 → 원천납부로서 납세의무를 종결 → 확정신고안함

     - 금육소득 : 2천만원 이하

     - 사업소득 :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

     - 근로소득 : 일용근로소득

     - 연금소득 : 1,200만원 이하 사적연금(선택)

     - 기타소득 : 기타소득금액이 300만원이하 선택

  - 분남

구분 분납할 수 있는 금액
납부할세액이 2,000만원 이하인 경우 1,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
납부할세액이 2,000만원 초과하는 경우 납부할세액의 50%이하 금액

  - 소액부징수

    소득세 징수 안함

구분 기준금액
원천징수세액(이자소득 제외) 1천원 미만
납세조합 징수세액
비거주자의 분리과세대상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액
중간예납세액 30만원 미만

 # 결손금과 이월결손금

  - 결손금 = 수익 < 비용 → 통산 : 이배사근연기 → 근연기이배(단, 부동산임대는 부동산임대에서만 통산)

  - 이월결손금 → 이배사근연기 → 사근연기이배(단, 부동산임대에 해당하는 사업소득은 부동산임대소득에서만 통산 가능)

 

 

정보) 경기도 평생학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세무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자료입력  (0) 2021.10.28
전기분재무제표  (0) 2021.10.28
4-8 종합소득세의 계산  (0) 2021.10.20
4-4 근로소득 ~7  (0) 2021.10.18
4-3 사업소득  (0) 2021.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