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문별원가회계 기초

 1) 부문별 원가회계의 의미

   제품의 제조원가를 계산하는데 있어 제조간접비를 각 제품에 보다 더 정확하게 배부하기 위하여 제조간접비를 발생 장소인 부문별로 분류, 집계하는 절차

 2) 원가부문의 설정

  - 제조부문 : 경영목적인 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부문, 절단부문, 조립부문, 선반부문, 주조부문 등

  - 보조부문 : 제조부문의 활동을 보조하는 부문, 동력부문, 수선부문, 공장사무부문 등

2. 부문별원가회계 절차

 1) 부문별 원가회계의 절차

   제 1단계 : 부문 개별제조간접비(=부문개별비)를 각 부문에 부과

   제 2단계 : 부문 공통제조간접비(=부문공통비)를 각 부문에 배부

   제 3단계 : 보조부문비를 제조부문에 배부

   제 4단계 : 제조부문비를 각 제품에 배부

 2) 부문개별비의 부과

   - 부문개별비 : 특정 부문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제조간접비, 해당부문에 직접 부과

 3) 부문공통비의 배부

부문공통비 배부기준
간접재료비 각 부문의 직접배료비
간접노무비 각 부문의 직접노무비, 종업원수, 직접노동시간 등
감가상각비 기계의 경우 : 각 부문의 기계사용시간 또는 기계가격
건물의 경우 : 각 부문의 면적
동력비 각 부문의 전력소비량 또는 기계마력수 * 운전시간
수선비 각 부문의 수선횟수 또는 수선가액
가스수도비 각 부문의 가스, 수도사용량
운반비 각 부문의 운반 물품 무게, 운반 거리, 운반 횟수 등
복리후생비 각 부문의 종업원 수
임차료, 화재보험료 각 부문이 차지하는 면적 또는 기계의 가격

 4) 보조부문비의 배부

   보조부문비 → 제조부문

  - 직접배부법 : 보조상호간의 용역수수는 무시하고, 제조에만 배부, 정확성이 없음

  - 단계배부법 : 우선순위를 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부문에서 낮은 부문으로 배부 후 제조에 배부

                    보조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일부 고려

  - 상호배부법 : 보조상호간의 용역수수를 완전히 고려, 연립방정식, 가장 정확하고 가장 복잡

 5) 보조부문비의 제조부문에 대한 배부기준

  - 단일배부율법 : 변동비와 고정비 구분없이 하나의 배부기준에 의해 배부

  - 이중배부율법 : 변동비는 실제사용량기준, 고정비는 최대사용량기준으로 배부

 6) 제조부문비의 제품에의 배부

   제조부문비는 적절한 배부기준에 따라 각 제조부문을 거쳐간 각 제품에 배부하여 제품원가를 계싼

  - 배부기준 : 가액법, 시간법, 등

  - 배부방법 : 공장전체배부율법(하나의 배부기준), 부문별배부율법

 

 

정보) 경기도 평생학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종합원가계산  (0) 2021.10.14
2-4 개별원가계산  (0) 2021.10.13
2-2 요소별 원가회계  (0) 2021.10.11
2-1 원가회계의 기초  (0) 2021.10.10
1-20 재무제표 작성원칙  (0) 2021.10.09

1. 원재료비의 개념과 분류

 1) 원재료비의 개념

  제품 제조를 위해 재료를 소비함으로써 발생하는 원가요소

 2) 원재료비의 분류

  - 제조활동에서 사용되는 형태에 따른 분류

   - 주요재료비

   - 부품비

   - 보조재료비

   - 소모공구기비품비

  -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직접재료비 : 특정 제품의 제조에만 사용

   - 간접재료비 : 여러 제품 제조에 공통적으로 소비

2. 노무비

 1) 노무비

  노동력을 소비함으로서 발생하는 원가요소

 2) 노무비의 분류

  - 지급형태에 따른 분류

     임금, 급료, 잡급, 종업원 상여수당 등으로 분류

  -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직접노무비 : 특정 제품에 개별 집계 가능한 노무비

   - 간접노무비 : 여러 제품 제조에 노동력을 제공하거나 제품의 제조에 직접관련이 없는 임금

  - 노무비의 계산

     임금 = 기본임금 + 할증급 + 각종수당

3. 경비

 1) 경비의 개념

 2) 경비의 분류

  - 발생형태에 따른 분류

     공장부분 발생액은 경비로, 본사부분 발생액은 판매비와 관리비로 분류

  -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직접경비 : 설계비, 특허권 사용료, 외주가공비 등

   - 간접경비 : 여러 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것, 대부분의 경비

  - 원가에 산입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월할경비, 측정경비, 지급경비, 발생경비로 분류

 3) 경비의 계산

  - 월할경비 : 1개월 간의 경비 소비액, ex) 감가상각비, 보험료, 임차료, 세금과공과, 특허권사용료 등

  - 측정경비 : 설치된 계량기에 의하여 측정되는 경비, ex) 전력비, 가스수도비 등

  - 지급경비 : 당월의 현금지급액이 그대로 소비액이 되는 것, ex) 외주가공비, 수선비, 운반비, 잡비 등

  - 발생경비 : 재료감모손실 등과 같이 현금의 지출이 없이 발생하는 경비

 4) 경비의 회계 처리

      직접경비는 재공품계정 차변에 대체하고, 그 밖의 모든 간접경비는 제조간접비계정 차변에 대체

4. 제조간접비

 1) 제조간접비의 개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원가요소인 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간접경비(제조경비)

     제조간접비의 배부 : 일정한 배부 기준에 의하여 특정 제품에 나누어주는 것

 2) 제조간접비의 배부

  - 실제배부법 : 실제로 발생한 제조간접비를 각 제품에 배부하는 방법

   - 가액법

    - 직접재료비법

        배부율 = 제조간접비총액 / 직접재료비총액, 특정 제품의 직접재료비 * 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직접노무비법

        배부율 = 제조간접비총액 / 직접노무비총액, 특정 제품의 직접노무비 * 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직접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법

        배부율 = 제조간접비총액 / 직접원가총액, 특정 제품의 직접원가 * 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시간법 : 소비된 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비를 배부하는 방법

    - 직접노동시간법

        배부율 = 제조간접비총액 / 직접노동시간총수, 특정 제품의 직접노동시간 * 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기계작업시간법

        배부율 = 제조간접비총액 / 기계작업시간총수, 특정 제품의 기계작업시간 * 배부율 = 제조간접비 배부액

  - 예정배부법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 = 제조간접비예쌍액(=예정액) / 배부기준의예상액(=예정액)

        배부기준의 예상액 : 가액법과 시간법에 의함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 = 제품별 배부기준의 실제발생액 *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

  차변 대변
회계처리 재공품 제조간접비

 3) 제조간접비의 배부차이

      배부차이 = 실제제조간접비 - 예정제조간접비 = +면 과소배부, -면 과대배부

구분 차변 대변
과소배부시 회계처리 제조간접비배부차이 제조간접비
과대배부시 회계처리 제조간접비 제조간접비배부차이

 4) 제조간접비의 배부차이조정

  - 매출원가조정법 : 배부차이를 매출원가에서 가감

구분 차변 대변
과소배부시 회계처리 제품매출원가 제조간접비배부차이
과대배부시 회계처리 제조간접비배부차이 제품매출원가

  - 영업외손익법 : 배부차이를 영업외비용과 영업외수익으로 조정

  - 비례배분법 : 배부차이를 재공품, 제품, 제품매출원가의 금액비율기준으로 배부

 

 

정보) 경기도 평생학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개별원가계산  (0) 2021.10.13
2-3 부문별 원가회계  (0) 2021.10.12
2-1 원가회계의 기초  (0) 2021.10.10
1-20 재무제표 작성원칙  (0) 2021.10.09
1-19 수익과 비용  (0) 2021.10.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