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익(revenue)

 자본이 증가하는 원인

 1) 매출수익 : 상품매출액, 제품매출액

 2) 영업외 수익 :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임대료,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외환차익, 유형자산처분이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보험금수익 등

과목 내용
상품매출 상품을 판매시 발생하는 판매대가
제품매출 데품을 판매시 발생하는 판매대가
임대료 건물이나 토지 등을 대여하고 받은 집세나 지대(=수입임대료)
이자수익 대여금이나 은행예금 등에 대하여 발생한 이자
수수료수익 용역을 제공하고 받은 수수료(=수입수수료)
잡이익 영업활동 이외에서 발생한 비교적 적은 금액의 수익, 내용불명 이익
유형자산처분이익 건물, 비품, 토지 등을 장부가액 이상으로 매각시 생기는 이익
 = 처분가액 - 장부가액(= 취득원가 - 감가상가누계액)

2. 비용(expense)

  자본이 감소하는 원인

과목 내용
상품매출원가 상품을 판매시 판매분 매입원가(=기초상품+당기매입상품-기말상품)
 = 기초상품 + 순매입액(당기매입상품) - 기말상품
제품매출원가 제품을 판매시 판매분 제조원가(=기포제품+당기제품제조원가-기말제품)
급여 사무직 및 관리직 종업원에게 지급되는 월급
 - 사무직 월급 : 급여
 - 생산직 월급 : 임금
 - 비정규직 월급(알바 등) : 잡급
복리후생비 당사 임직원을 위해 무상지출한 식대 등
통신비 전화, 인터넷요금, 팩스, 우표 대금 등 연락을 하기 위하여 지출되는 금액
여비교통비 택시요금, 버스요금, 지하철요금 시내교통비 등 출장비로 지출되는 금액
접대비 업무와 관련하여 특정 거래처에 무상으로 지급한 금품
수대광열비 수도료, 전기료, 가스료 등으로 지출되는 금액
 - 공장의 전기세 : 전력비
 - 공장의 수도세, 가스비, 등유 : 가스수도료
소모품비 사무용 장부, 노트, 볼펜 등 단기사용자산 구입시 지출되는 금액
광고선전비 상품 등을 판매하기 위해 지출되는 TV, 신문, 잡지 등의 광고선전비용
수선비 건물, 기계장치 등을 수리하고 지급되는 금액
차량유지비 업무차량에 대한 유지비, 유류비, 수선비 등의 지출액
세금과공과 재산세, 면허세, 자동차세, 종부세, 가산세, 수입인지, 국민연금회사부담금 등
보험료 화재보험료, 자동차보험료, 고용/산재보험 등을 지급 시
임차료 건물이나 토지를 빌리고 지급되는 집세 및 지대(=지급임차료)
잡손실 영업 이외의 활동에서 발생한 원인불명의 손실, 소액손실
유형자산처분손실 건물, 토지 등의 유형자산을 장부가액이하로 매각시 생기는 손실
이자비용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지급시
수수료비용 용역(=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지급되는 수수료(=지급수수료)
기부금 불우이웃 곱기, 수재의 연금 등으로 업무와 무관하게 무상지출되는 금액

 # 식대

  - 출장 : 여비교통비(접대비를 제외한 출장비)

  - 회사 : 복리후생비

 # 무상지출

  - 당사직원에게 무상지출 : 복리후생비
  - 거래처직원에게 무상지출 : 접대비
  - 업무와 무관하게 무상지출 : 기부금(불우이웃돕기)

 # 광고선전비 : 매출증대목적

    수수료비용(구인광고) : 매체(서비스, 용역)를 이용하고 지급하는 수수료

 # 수선비 : 건물, 비품 등의 수리비

    차량유지비 : 차량의 수선, 기름, 주차비, 톨비 등

 # 4대보험 중 회사가 지출(직원부담 : 예수금)

  - 복리후생비 :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 세금과공과 : 국민연금

  - 고용/산재보험 : 보험료

 # 임차보증급 : 자산

    임대보증급 : 부채

 

 

정보) 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세무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재고자산  (0) 2021.09.29
1-5 매출채권  (0) 2021.09.28
1-4 당좌자산  (0) 2021.09.27
1-2 기업의 재무상태  (0) 2021.09.26
1-1 회계의 기초개념  (0) 2021.09.26

1. 수익과 비용

 1) 수익(revenue)

  경영활동의 결과로 자본이 증가하는 원인

   - 매출수익 : 상품매출액

   - 영업외 수익 :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임대료,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외환차익, 유형자산처분이익, 자산수증이익, 채무면제이익, 보험금수익 등

과목 내용
상품매출 상품을 판매시 발생하는 수익
임대료 건물이나 토지 등을 대여하고 받은 집세나 지대(=수입임대료)
이자수익 대여금이나 은행예금 등에 대하여 발생한 이자
수수료수익 용역을 제공하고 받은 수수료(=수입수수료)
잡이익 영업활동 이외에서 발생한 비교적 적은 금액의 수익, 내용불명의 수익
유형자산처분이익 건물, 비품, 토지 등을 장부가액 이상으로 매각시 생기는 차익
 = 처분가액 - 장부가액(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2) 비용(expense)

  자본이 감소하는 원인

과목 내용
상품매출원가 상품을 판매시 판매분 매입원가(=기초상품+당기매입상품-기말상품)
급여 사무직 및 관리직 종업원에게 지급되는 월급
 - 사무직 : 급여
 - 생산직 : 임금
 - 알바 : 잡급
복리후생비 당사 임직원을 위해 무상지출한 식대 등
통신비 전화, 전보, 우표, 엽서 대금 등 연락을 하기 위하여 지출되는 금액
여비교통비 출장비, 택시요금, 버스요금, 지하철요금 시내교통비 등으로 지출되는 금액
식대 포함
접대비 업무와 관련하여 특정 거래처에 무상으로 지급한 금품
수대광열비 수도료, 전기료, 가스료 등으로 지출되는 금액
 - 공장의 전기세 : 전력비
 - 공장의 수도세, 가스비, 등유 : 가스수도료
소모품비(단기사용자산) 사무용 장부, 노트, 볼펜 등을 구입시 지출되는 금액
광고선전비 상품 등을 판매하기 위해 지출되는 TV, 신문, 잡지 등의 광고선전비용
수선비 건물, 기계장치 등을 수리하고 지급되는 금액
차량유지비 차량에 대한 유류비, 수선비, 통행료 등
세금과공과 재산세, 면허세, 자동차세, 종부세, 가산세, 국민연금회사부담금 등
보험료 화재보험료, 자동차보험료, 고용/산재보험 등을 지급 시
임차료 건물이나 토지를 빌리고 지급되는 집세 및 지대(=지급임차료)
잡손실 영업 이외의 활동에서 발생한 원인불명의 손실, 소액지출
유형자산처분손실 건물, 토지 등의 유형자산을 장부가액이하로 매각시 생기는 손실
이자비용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지급시
수수료비용 용역(=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지급되는 수수료(=지급수수료)
기부금 불우이웃 곱기, 수재의 연금 등으로 업무와 무관하게 무상지출되는 금액

 # 무상지출

  - 당사직원에게 무상지출 : 복리후생비
  - 거래처직원에게 무상지출 : 접대비
  - 업무와 무관하게 무상지출 : 기부금(불우이웃돕기)

 # 소모품 : 단기사용자산 - 사용시 : 소모품비, 미사용시 : 소모품

    비품 : 장기사용자산

 # 매출증대목적 광고비 : 광고선전비

    구인광고비 : 수수료비용(매체를 이용하고 지급하는 수수료)

 # 수리비 - 차량수리비 : 차량유지비

             - 기계수리, 건물을 수리, 비품을 수리 : 수선비

 # 잡비 : 판매비와 관리비(장사할 때 지출하는 소액비용)

    잡손실 : 영업외비용(장사와 무관한 활동에서 소액비용, 내용불명)

 # 교육훈련비(직업업무역량강화를 위한 지출) : 학원비, 강사비

    도서인쇄비 : 도서, 신문, 잡지, 명함

2. 기업의 경영성과에 의한 순손익 계산법(손익법)

 총수익 - 총비용 = 순이익

 총비용 - 총수익 = 순손실

3.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I/S)

손익계산서
회사명 날짜 단위
과목 금액 과목 금액
       
좌변=차변 : 비용 우변=대변 : 수익

 1) 순이익이 발생한 경우의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
총비용(600) 총수익(1,000)
당기순이익(400)

 2) 순손실이 발생한 경우의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
총비용(500) 총수익(400)
당기순손실(100)

4.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재무상태표
기말자산
(300)
기말부채(250)
기말자본 기초자본(20)
당기순이익(30)
손익계산서
총비용(170) 총수익(200)
당기순이익(30)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말자본 or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초자본 + 순이익(당기순이익)

 총비용 + 순이익(당기순이익) = 총수익

 

 

정보) 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분개  (0) 2021.09.29
1-5 계정  (0) 2021.09.28
1-4 거래  (0) 2021.09.27
1-2 기업의 재무상태  (0) 2021.09.26
1-1 회계의 기초개념  (0) 2021.09.26

1. 기업의 재무상태

 일정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및 자본의 상태

2. 자산(asset)

 1) 자산의 의의

  회계에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화와 채권

 2) 자산의 분류

  - 유동자산

   - 사용의 제한이 없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판매목적 또는 소비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

   -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

   - 보호기간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 또는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

   - 재고자산과 회수되는 매출채권 등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실현되지 않더라도 유동자산으로 분류

  - 비유동자산

유동자산 1. 당좌자산 :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단기매매증권, 매출채권, 단기대여금, 미수금, 선급금 등
2. 재고자산 :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등
비유동자산 1. 투자자산 : 장기금융상품,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장기대여금, 투자부동산 등
2. 유형자산 : 비품,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선박, 차량운반구, 건설중인자산 등
3. 무형자산 : 소프트웨어, 영업권, 산업재산권, 광업권, 어업권, 개발비 등
4. 기타비유동자산 : 부도어음과수표, 임차보증금, 장기서매출채권 등
과목 내용
현금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주화나 지폐 및 통화대용증권(수표 등)
당좌예금 기업이 수표를 발행하기 위해서 거래 은행에 예입하는 것
보통예금 개인 및 기업이 은행에 예입하는 예금의 일종
현금성자산 취득일로부터 만기(상환일)가 3월이내인 금융상품 등
현금 및 현금성자산 통화 및 통화대용증권과 당좌예금 및 기타 제예금을 합한 금액
단기매매증권 단기간 보유목적으로 주식이나 사채, 국채, 공채를 구입시
단기대여금 1년 이내에 회수하기로 하고 빌려준 돈
단기금융상품 만기가 결산일로부터 1년이내인 정기예금, 정기적금에 가입시
단기투자자산 단기매매증권, 단기대여금, 단기금융상품을 합한 금액
외상매출금 상품, 제품을 외상으로 매출한 경우
받을어음 상품, 제품을 매출하고 대금을 어음으로 받은 경우
매출채권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을 합한 금액
미수금 상품, 제품 이외 건물등의 자산을 외상으로 매각(처분)한 경우
선급금 매매계약을 맺고 계약금(착수금)조로 먼저 지급한 금액
상품 판매를 할 목적으로 외부로부터 구입한 물품
소모품 사무용 문구류, 장부 등을 구입시(단기)
건물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사무실, 창고, 점포 등을 구입시
비품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구입한 책상, 컴퓨터, 전화기 등(장기)
토지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땅을 구입시
기계장치 제품생산을 위한 기계 구입시
차량운반구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승용차, 승합차, 트럭, 오토바이 등을 구입시

  원재료 : 제조할려고 구매한 자산=원료(성질이 변함)+재료(부착되도 성질변함x)

  재공품 : 가공중에 있는 자산

  제품 : 판매할려고 만든자산

  반제품 : 원재료로 투입도 가능 또는 판매도 가능한 제품

3. 부채

 1) 부채의 의의

  미래에 타인에게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채무

 2) 부채의 분류

  - 유동부채

   -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상환 등을 통하여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의 부채

   - 보고기간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되어야 하는 단기차입금 등의 부채

   - 보고기간 후 1년 이상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부채

    ex)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미지급비용, 미지급세금 등

  - 비유동부채

    ex) 사채, 장기차입금, 퇴직급여충당부채 등

 3) 분류기준

  - 부채는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

유동부채=단기=1년이내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미지급비용, 미지급세금 등
비유동부채=장기=1년초과 사채(장기자금조달), 퇴직급여충당부채(1년초과근무시), 장기차입금, 임대보증금 등
과목 내용
외상매입금 상품, 원재료를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
지급어음 상품, 원재료를 매입하고 어음을 발행한 경우
매입채무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금액을 합한 금액
단기차입금 1년 이내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려온 경우
미지급금 상품, 원재료 이외의 자산을 외상으로 구입한 경우
장기차입금 1년 이후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려온 경우

4. 자본

 사업밑천, 출자액

 자본등식 : 자산 - 부채 = 자본(순자산)

 1) 자본금 : 개인은 출자금, 법인은 주식의 액면총액, 순자산액, 법정자본금

 2) 자본잉여금 : 증자나 감자 등 주주와의 거래에서 발생하여 자본을 증가시키는 잉여금,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처분이익, 감자차익 등

 3) 자본조정 : 자기주식, 주식할인발행차금, 주식선택권, 출자전환채무, 감자차손 및 자기주식처분손실 등

  상계규정

자본잉여금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자본조정 주식할인발행차금 감자차손 자기주식처분이익

  ex) 감자차익 100, 감자차손 150, 500 감자, 650원에 현금지급

자본금 500 현금 650
감자차익 100    
감자차손 50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의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등의 잔액

 5) 이익잉여금 (또는 이월결손금) : 주주에 대한 배당, 자본금으로의 전입 및 자본조정 항목의 상각 등으로 처분된 금액을 차감한 잔액

  - 기처분이익잉여금=법정적립금 : 이익준비금(현금배당*1/10)=임의적립금 : 회사가 임의로 적립한 배당평균적립금 등

  - 미처분이익잉여금=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당기순이익

자본금(법정자본금)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자본잉여금 주식발행초과금, 기타자본잉여금(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자본조정 주식할인발행차금, 자기주식, 감자차손, 자기주식처분손실, 미교부주식배당금 등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등
이익잉여금 이익준비금, 기타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금

 

 

정보)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세무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재고자산  (0) 2021.09.29
1-5 매출채권  (0) 2021.09.28
1-4 당좌자산  (0) 2021.09.27
1-3 기업의 경영성과  (0) 2021.09.27
1-1 회계의 기초개념  (0) 2021.09.26

1. 기업의 재무상태

 일정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및 자본의 상태

2. 자산(asset)

 1) 자산의 의의

  회계에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화와 채권

 2) 자산의 분류

  - 유동자산

   - 사용의 제한이 없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판매목적 또는 소비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

   -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

   - 보호기간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 또는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

   - 재고자산과 회수되는 매출채권 등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실현되지 않더라도 유동자산으로 분류

  - 비유동자산

유동자산 1. 당좌자산 :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단기매매증권, 매출채권, 단기대여금, 미수금, 선급금 등
2. 재고자산 :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등
비유동자산 1. 투자자산 : 장기금융상품,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장기대여금, 투자부동산 등
2. 유형자산 : 비품,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선박, 차량운반구, 건설중인자산 등
3. 무형자산 : 소프트웨어, 영업권, 산업재산권, 광업권, 어업권, 개발비 등
4. 기타비유동자산 : 부도어음과수표, 임차보증금, 장기서매출채권 등
과목 내용
현금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주화나 지폐 및 통화대용증권(수표 등)
당좌예금 기업이 수표를 발행하기 위해서 거래 은행에 예입하는 것
보통예금 개인 및 기업이 은행에 예입하는 예금의 일종
현금성자산 취득일로부터 만기(상환일)가 3월이내인 금융상품 등
현금 및 현금성자산 통화 및 통화대용증권과 당좌예금 및 기타 제예금을 합한 금액
단기매매증권 단기간 보유목적으로 주식이나 사채, 국채, 공채를 구입시
단기대여금 1년 이내에 회수하기로 하고 빌려준 돈
단기금융상품 만기가 결산일로부터 1년이내인 정기예금, 정기적금에 가입시
단기투자자산 단기매매증권, 단기대여금, 단기금융상품을 합한 금액
외상매출금 상품, 제품을 외상으로 매출한 경우
받을어음 상품, 제품을 매출하고 대금을 어음으로 받은 경우
매출채권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을 합한 금액
미수금 상품, 제품 이외 건물등의 자산을 외상으로 매각(처분)한 경우
선급금 매매계약을 맺고 계약금(착수금)조로 먼저 지급한 금액
상품 판매를 할 목적으로 외부로부터 구입한 물품
소모품 사무용 문구류, 장부 등을 구입시(단기)
건물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사무실, 창고, 점포 등을 구입시
비품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구입한 책상, 컴퓨터, 전화기 등(장기)
토지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땅을 구입시
기계장치 제품생산을 위한 기계 구입시
차량운반구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승용차, 승합차, 트럭, 오토바이 등을 구입시

3. 부채

 1) 부채의 의의

  미래에 타인에게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채무

 2) 부채의 분류

  - 유동부채

   -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상환 등을 통하여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의 부채

   - 보고기간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되어야 하는 단기차입금 등의 부채

   - 보고기간 후 1년 이상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부채

    ex)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미지급비용, 미지급세금 등

  - 비유동부채

    ex) 사채, 장기차입금, 퇴직급여충당부채 등

 3) 분류기준

  - 부채는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

과목 내용
외상매입금 상품, 원재료를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
지급어음 상품, 원재료를 매입하고 어음을 발행한 경우
매입채무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금액을 합한 금액
단기차입금 1년 이내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려온 경우
미지급금 상품, 원재료 이외의 자산을 외상으로 구입한 경우
장기차입금 1년 이후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려온 경우

4. 자본

 사업밑천, 출자액

 자본등식 : 자산 - 부채 = 자본(순자산)

 1) 자본금 : 개인은 출자금, 법인은 주식의 액면총액

 2) 자본잉여금 :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처분이익, 감자차익 등

 3) 자본조정 : 자기주식, 주식할인발행차금, 주식선택권, 출자전환채무, 감자차손 및 자기주식처분손실 등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의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등의 잔액

 5) 이익잉여금 (또는 이월결손금) : 주주에 대한 배당, 자본금으로의 전입 및 자본조정 항목의 상각 등으로 처분된 금액을 차감한 잔액

5. 재무상태표(SFP)

 재무상태표등식 : (차변)자산=(대변)부채+자본

6. 계산법에 의한 순손익 계산

 1) 순이익이 발생한 경우 재무상태표

  당기순이익 발생시 등식 : 기말자본 - 기초자본 = 순이익

  당기순손실 발생시 등식 : 기초자본 - 기말자본 = 순손실

기말자산(300) 기말부채(270)
기말자본(30) 기초자본(20)
당기순이익(10)

  기말자산 = 기말부채 + 기말자본(기초자본+순이익)

2) 순손실이 발생한 경우의 재무상태표

기말자산(100) 기말부채(60)
기말자본(40)

  기말자산 = 기말부채+기말자본(기초자본-순손실)

 

재무상태표
기업명 날짜(년.월.일) 단위
자산 금액 부채/자본 금액
현금 310,000 단기차입금 230,000
단기금융상품 200,000 매입채무 282,000
매출채권 195,000 자본금 563,000
상품 320,000    
비품 50,000    
       
차변 1,750,000 대변 1,750,000

  자본금이 나와 있지 않은 경우 차변과 대변이 같아야 하기 때문에 차변에 남은 부채를 빼서 구한다.

 

 

정보)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분개  (0) 2021.09.29
1-5 계정  (0) 2021.09.28
1-4 거래  (0) 2021.09.27
1-3 기업의 경영성과  (0) 2021.09.27
1-1 회계의 기초개념  (0) 2021.09.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