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고자산

 상품 매입시 상품계정, 상품 매출시 상품매출계정,

 실사한 금액을 재고자산으로 하여 혼합법(실사법+계속기록법)으로 결산시 매출원가 계상

구분 차변 대변
상품 외상 매입(50,000) 상품 50,000 외상매입급 50,000
매입상품 에누리(600) 외상매입급 600 매입환출및에누리 600
상품 외상 판매(100,000) 외상매출금 100,000 상품매출금 100,000
매출상품 에누리(300) 매출환입및에누리 300 외상매출금 300
결산시(매출원가 60,000) 상품매출원가 60,000 상품 60,000

2. 상품 매매에 관한 등식

 1) 총매입액 - 매입에누리 및 매입환출액, 매입할인액 = 순매입액

 2)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매출원가

 3)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판매가능액

3. 매입할인과 매출할인

 1) 매입할인 : 외상매입금을 약정 기일 이전에 지급한 경우

 2) 매출할인 : 외상매출금을 약정 기일 이전에 회수하는 경우

4.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

 1) 계속기록법 : 매입과 매출 등 재고자산이 증감될 때마다 그 증감과 잔액을 계속적으로 장부에 기록, 

                     단, ( 기말재고수량 ≠ 실제재고수량 )으로 감손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대조

   ( 기초재고수량 + 당기순매입수량 ) - 당기매출수량 = 기말재고수량(장부)

 2) 실질재고조사법 : 입고는 대량구매라서 기록, 출고는 빈번하여 기록 안 함, 대신 기말재고를 실사

                     단, ( 매출수량 = 실제매출수량 + 감모수량 )으로 감모분이 매출수량에 포함되는 결점

   ( 기초재고수량 + 당기순매입수량 ) - 기말재고수량(실제) = 당기매출수량

 3) 혼합법 : 계속기록법 + 실질재고조사법으로 감모수량을 파악

5. 단가를 결정하는 방법

 1) 개별법 : 라벨을 보고 해당원가를 기입

    - 특징 : 귀중품, 골동품 등 소품종 고가품

    - 장점 : 실제물량흐름과 일치

    - 단점 : 시간과 노력의 소요가 많음, 동일종류재고자산의 구입가격이 다른 경우 매출시 인위적인 대응으로 이익조작의 가능성이 있음

 2) 선입선출법 : 매입순법

    - 특징 : 기말재고액이 현행원가와 비슷, 물가상승시 재고자산 평가액이 커짐, 현재수익에 과거원가의 대응으로 실물자본 유지가 어려움, 기말재고상품이 가장 최금의 시가로 표시, 가공이익 발생

    - 장점 : 상품의 실제흐름과 대체적으로 일치

    - 단점 : 인플레이션시에 기말재고가 과대평가되어 매출원가가 과소계상되고 상품매출이익과 과대계상

     # 먼저 입고분이 먼저 출고 > 기말재고는 최근 구입분 > 기말재고과대(자산과대) > 자본과대 > 이익과대 > 법인세와 배당이 과대 > 자금흐름이 악화

 3) 후입선출법 : 매입역법

    - 특징 : 기말재고액은 과거가격, 매출원가는 최근가격, 물가상승시 재고자산 평가액이 상대적으로 작아짐

    - 장점 : 물가상승시 적용하면 절세가 가능

    - 단점 : 실물흐름과 불일치, 물가상승시 재고자산이 과소계상(비밀적립금 발생)되어 매출이익익 과소계상으로 자금조달 측변에선 불리

     # 기말재고(초기구입분)과소 > 이익과소 > 배당과 세금이 과소 > 자금흐름이 개선

 4) 이동평균법 : 매입할 때마다 그 수량 및 금액을 구입전 재고수량과 재고가격에 가산하여 이동평균단가를 구하고 그 것을 인도단가로 사용하는 방법

     이동평균단가(인도단가) = ( 직전재고액 + 당일매입액 ) / ( 직전재고수량 + 당일매입수량 )

    - 특징 : 입고시마다 단가를 재계산

    - 장점 : 기간 중 원가자료 이용이 가능

    - 단점 : 단가적용이 복잡, 계속기록법에서 가능

 5) 총평균법 : 기말에 한번만 평균단가산출

     총평균단가(인도단가) = ( 기초금액 + 당기순매입액 ) / ( 기초재고수량 + 당기순매입수량 )

    - 특징 : 원가계산기간 종료 후 단가 계산, 실질재고조사법에서 가능

    - 장점 : 간편, 이익조작 가능성이 감소

    - 단점 : 기간 중 원가자료이용이 어려움

 6) 소매재고조사법 : 백화점, 연쇄점, 소매상과 같이 여러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원가율에 의해서 계산

6. 재고자산의 결정

 1) 미착품 : 창고에 입고되지 않은 상품

   - 선적지인도기중 : 선적시점에서 당사에 소유권 이전 > 당사재고

   - 도착지인도기준 : 도착시점에서 당사에 소유권 이전 > 판매자의 재고

 2) 위탁품 :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판매를 부탁한 상품, 수탁자가 판매시에 매출로 인식하고 판매되지 않은 위탁품은 당사재고에 포함

 3) 시송품 : 시험삼아 사용후에 만족하면 구매하는 방식의 매출, 구매의사표시전에는 당자의 재고, 구매의사표시점에 매출액을 인식

 4) 할부판매 : 판매가격을 인도기준에 의해 회계처리

7.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

 1) 재고자산감모손실 : 도난, 분실, 증발, 부패 등

    - 원가성이 있는 정상적인 감모(증발) : 매출원가

    - 원가성이 없는 비정상적인 감모 : 영업외비용

    감모손실액 = ( 장부수량 - 실사수량 ) * 취득원가

원가성이 없는 경우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xxx (대) 상품(타계정대체) xxx

 2) 재고자산평가손실 : 저가기준(시가와 장부가액 중 낮은 가액)에 의해 평가시 발생하는 금액, 매출원가에 가산처리(정상적 원가성이 있음)

    재고자산평가손실 = 실사수량 * ( 취득단가 - 시가 )

    시가 : 원재료는 형행대체원가, 원재료 외는 순실현ㄱ치

  (차) 재고자산평가손실 xxx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xxx
구분 차변 대변
상품 장부수량 100, 실사수량 80, 취득원가 1,000,
원가성 없는 비율 40%
재고자산감모손실 8,000 상품 8,000
시가(순실현가치) 800 재고자산평가손실 16,000 상품평가충당금 16,000

 감모손실(영업외비용) = (100 - 80) * 1,000 * 0.4 = 8,000

 평가손실(매출원가) = 80 * (1,000 - 800) = 16,000

 

 

정보) 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

'전산세무회계 > 전산회계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 감가상각  (0) 2021.10.05
1-11 유형자산  (0) 2021.10.04
1-9 매출채권  (0) 2021.10.02
1-8 당좌자산  (0) 2021.10.01
1-7 시산표  (0) 2021.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