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고자산
상품 매입시 상품계정, 상품 매출시 상품매출계정,
실사한 금액을 재고자산으로 하여 혼합법(실사법+계속기록법)으로 결산시 매출원가 계상
구분 | 차변 | 대변 |
상품 외상 매입(50,000) | 상품 50,000 | 외상매입급 50,000 |
매입상품 에누리(600) | 외상매입급 600 | 매입환출및에누리 600 |
상품 외상 판매(100,000) | 외상매출금 100,000 | 상품매출금 100,000 |
매출상품 에누리(300) | 매출환입및에누리 300 | 외상매출금 300 |
결산시(매출원가 60,000) | 상품매출원가 60,000 | 상품 60,000 |
2. 상품 매매에 관한 등식
1) 총매입액 - 매입에누리 및 매입환출액, 매입할인액 = 순매입액
2)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매출원가
3)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판매가능액
3. 매입할인과 매출할인
1) 매입할인 : 외상매입금을 약정 기일 이전에 지급한 경우
2) 매출할인 : 외상매출금을 약정 기일 이전에 회수하는 경우
4.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
1) 계속기록법 : 매입과 매출 등 재고자산이 증감될 때마다 그 증감과 잔액을 계속적으로 장부에 기록,
단, ( 기말재고수량 ≠ 실제재고수량 )으로 감손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대조
( 기초재고수량 + 당기순매입수량 ) - 당기매출수량 = 기말재고수량(장부)
2) 실질재고조사법 : 입고는 대량구매라서 기록, 출고는 빈번하여 기록 안 함, 대신 기말재고를 실사
단, ( 매출수량 = 실제매출수량 + 감모수량 )으로 감모분이 매출수량에 포함되는 결점
( 기초재고수량 + 당기순매입수량 ) - 기말재고수량(실제) = 당기매출수량
3) 혼합법 : 계속기록법 + 실질재고조사법으로 감모수량을 파악
5. 단가를 결정하는 방법
1) 개별법 : 라벨을 보고 해당원가를 기입
- 특징 : 귀중품, 골동품 등 소품종 고가품
- 장점 : 실제물량흐름과 일치
- 단점 : 시간과 노력의 소요가 많음, 동일종류재고자산의 구입가격이 다른 경우 매출시 인위적인 대응으로 이익조작의 가능성이 있음
2) 선입선출법 : 매입순법
- 특징 : 기말재고액이 현행원가와 비슷, 물가상승시 재고자산 평가액이 커짐, 현재수익에 과거원가의 대응으로 실물자본 유지가 어려움, 기말재고상품이 가장 최금의 시가로 표시, 가공이익 발생
- 장점 : 상품의 실제흐름과 대체적으로 일치
- 단점 : 인플레이션시에 기말재고가 과대평가되어 매출원가가 과소계상되고 상품매출이익과 과대계상
# 먼저 입고분이 먼저 출고 > 기말재고는 최근 구입분 > 기말재고과대(자산과대) > 자본과대 > 이익과대 > 법인세와 배당이 과대 > 자금흐름이 악화
3) 후입선출법 : 매입역법
- 특징 : 기말재고액은 과거가격, 매출원가는 최근가격, 물가상승시 재고자산 평가액이 상대적으로 작아짐
- 장점 : 물가상승시 적용하면 절세가 가능
- 단점 : 실물흐름과 불일치, 물가상승시 재고자산이 과소계상(비밀적립금 발생)되어 매출이익익 과소계상으로 자금조달 측변에선 불리
# 기말재고(초기구입분)과소 > 이익과소 > 배당과 세금이 과소 > 자금흐름이 개선
4) 이동평균법 : 매입할 때마다 그 수량 및 금액을 구입전 재고수량과 재고가격에 가산하여 이동평균단가를 구하고 그 것을 인도단가로 사용하는 방법
이동평균단가(인도단가) = ( 직전재고액 + 당일매입액 ) / ( 직전재고수량 + 당일매입수량 )
- 특징 : 입고시마다 단가를 재계산
- 장점 : 기간 중 원가자료 이용이 가능
- 단점 : 단가적용이 복잡, 계속기록법에서 가능
5) 총평균법 : 기말에 한번만 평균단가산출
총평균단가(인도단가) = ( 기초금액 + 당기순매입액 ) / ( 기초재고수량 + 당기순매입수량 )
- 특징 : 원가계산기간 종료 후 단가 계산, 실질재고조사법에서 가능
- 장점 : 간편, 이익조작 가능성이 감소
- 단점 : 기간 중 원가자료이용이 어려움
6) 소매재고조사법 : 백화점, 연쇄점, 소매상과 같이 여러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원가율에 의해서 계산
6. 재고자산의 결정
1) 미착품 : 창고에 입고되지 않은 상품
- 선적지인도기중 : 선적시점에서 당사에 소유권 이전 > 당사재고
- 도착지인도기준 : 도착시점에서 당사에 소유권 이전 > 판매자의 재고
2) 위탁품 :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판매를 부탁한 상품, 수탁자가 판매시에 매출로 인식하고 판매되지 않은 위탁품은 당사재고에 포함
3) 시송품 : 시험삼아 사용후에 만족하면 구매하는 방식의 매출, 구매의사표시전에는 당자의 재고, 구매의사표시점에 매출액을 인식
4) 할부판매 : 판매가격을 인도기준에 의해 회계처리
7.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
1) 재고자산감모손실 : 도난, 분실, 증발, 부패 등
- 원가성이 있는 정상적인 감모(증발) : 매출원가
- 원가성이 없는 비정상적인 감모 : 영업외비용
감모손실액 = ( 장부수량 - 실사수량 ) * 취득원가
원가성이 없는 경우 |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xxx | (대) 상품(타계정대체) xxx |
2) 재고자산평가손실 : 저가기준(시가와 장부가액 중 낮은 가액)에 의해 평가시 발생하는 금액, 매출원가에 가산처리(정상적 원가성이 있음)
재고자산평가손실 = 실사수량 * ( 취득단가 - 시가 )
시가 : 원재료는 형행대체원가, 원재료 외는 순실현ㄱ치
(차) 재고자산평가손실 xxx |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xxx |
구분 | 차변 | 대변 |
상품 장부수량 100, 실사수량 80, 취득원가 1,000, 원가성 없는 비율 40% |
재고자산감모손실 8,000 | 상품 8,000 |
시가(순실현가치) 800 | 재고자산평가손실 16,000 | 상품평가충당금 16,000 |
감모손실(영업외비용) = (100 - 80) * 1,000 * 0.4 = 8,000
평가손실(매출원가) = 80 * (1,000 - 800) = 16,000
정보) 경기도 평생합습 포털 지식